결혼식, 허례허식일까? 진짜 중요한 건 무엇인가
한국 결혼식 문화에 대한 논쟁은 끊이지 않는다. ‘결혼식, 허례허식일까? 진짜 중요한 건 무엇인가’라는 주제는 화려한 결혼식을 둘러싼 허영심과 현실적인 결혼 준비 사이에서 고민하는 많은 이들의 생각을 보여준다. 식장, 스드메, 하객 문화 등 결혼식이라는 이벤트를 둘러싼 문제들을 다양한 시선으로 살펴봤다.
결혼식은 보여주기 위한 이벤트일까?
많은 사람들이 결혼식을 ‘한 번뿐인 날’이라고 여긴다. 하지만 그 ‘한 번뿐인 날’은 점점 화려함 경쟁의 장이 되어가고 있다. 고급 호텔, 명품 가방, 비싼 드레스, SNS용 웨딩 촬영까지—결혼을 준비하는 이들 중 상당수가 본인의 로망이 아니라 타인의 시선을 위해 결혼식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성의 허영심이 과도한 소비를 유도한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한편, 간소한 결혼식을 선택한 사람들의 사례도 눈에 띈다. 대학교 강당에서 식을 올리고 출장 뷔페로 비용을 아낀 커플, 결혼식 없이 혼인신고 후 신혼여행만 다녀온 부부 등은 보여주기보단 실리를 택했다. 이들은 남들 눈치보다 두 사람의 삶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실제로 결혼 후 경제적으로 더 안정된 삶을 살고 있다고 말한다. 결국 결혼식은 결혼생활의 시작이지, 그 자체가 결혼의 목적은 아니다.
하객이 원하는 건 오직 밥과 주차
하객 입장에서 결혼식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단연 ‘밥’과 ‘주차’다. 실제 경험담을 보면, 식장이 화려하든 작든 대부분의 하객은 음식 맛과 편의성을 기억한다. 국수만 나오는 간소한 식사는 물론, 반찬이 공용으로 나와 불편했던 사례도 있었다. 반면 예산을 아껴가며도 맛있는 식사와 편리한 주차를 제공한 결혼식은 좋은 인상으로 남았다.
결혼식장 자체는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잊히지만, 하객의 불편함은 오래 남는다. 이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화려한 식장보다 맛있는 밥이 더 기억에 남는다"고 말한다. 식장의 규모나 외형보다 하객이 실질적으로 겪는 경험에 더 집중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평가다.
결혼은 결혼식이 아닌 결혼생활이 핵심
결혼을 단순한 이벤트로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함께 살아가는 삶의 시작으로 보는 시선도 강해지고 있다. 특히 50대 이상 기혼자들이 “화려한 결혼식 대신 그 비용으로 사업 자금이나 전셋집 마련에 투자했다”는 경험을 공유하며, 젊은 세대에게 실용적인 결혼을 권하고 있다.
심지어 결혼식 없이 혼인신고만으로 결혼을 마무리하는 커플도 늘고 있다. “식 없이도 행복하다”는 이들의 말처럼, 결혼의 본질은 겉으로 보이는 하루의 이벤트가 아니라 평생을 함께할 동반자와의 관계다. 허영이나 관습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삶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혼식의 의미, 다시 생각해볼 때
결혼식은 인생의 중요한 이정표이지만, 그것이 과도한 비용과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어서는 안 된다. 과장된 기대와 외부의 시선을 내려놓고, 두 사람에게 진짜 필요한 결혼을 고민하는 문화가 자리 잡아야 한다.
자신의 형편과 가치관에 맞춘 결혼식은 화려하지 않아도 충분히 의미 있을 수 있다. 결혼을 앞둔 이들이 ‘보여주기’가 아닌 ‘함께 살기’를 중심으로 준비한다면, 진짜 행복한 결혼생활이 가능할지도 모른다.
결혼, 결국 중요한 건 식장이 아닌 둘의 삶임을 잊지 말자.
댓글